빨간 신호등 이미지. (출처=pixabay)
빨간 신호등 이미지. (출처=pixabay)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2000명 확대에 반발해 전국 전공의(인턴·레지던트) 6415명이 사직서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전체 전공의 1만3000여명의 55%에 이른다.

사직서를 낸 전공의 가운데 1630명(25%)은 병원에 출근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돼 진료 차질이 우려된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19일 밤 11시 기준 전국 100개 수련병원에서 모두 6415명의 사직서를 제출했으며 그중 1630명(25%)이 근무지를 이탈했다고 20일 밝혔다. 다만, 이렇게 제출된 사직서는 모두 수리되지 않았다.

복지부가 수련병원을 현장 점검(지난 19일 밤 10시 기준)한 결과, 10개 수련병원의 1091명의 전공의가 사직서를 제출했고 그중 737명의 전공의가 출근하지 않았다.

737명 가운데 의료법에 따른 업무개시명령 내린 29명을 제외하고 나머지 728명에 대해서도 업무개시명령을 발령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전체 의료진에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전공의들의 집단행동은 특히 필수의료 분야에서 큰 차질을 불러올 수 있다.  

지난해 말 기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전국 병의원 및 약국 현황 자료를 보면 서울대 의사 1603명 중 전공의는 740명으로 46.2%에 달한다. 연세대세브란스병원도 40.2%, 삼성서울병원 38%, 서울아산병원 34.5%, 서울성모병원 33.8% 등 '빅5 병원' 의료진의 30~40%가 전공의다. 

코로나19 대유행이 한창이던 2020년 의대 증원 추진 당시에도 의료계 파업은 전공의들이 포문을 열었으며 80%가 집단휴진에 참여한 바 있다. 이 여파로 정부는 의대 증원을 철회하고 코로나19가 안정화된 이후 의료계와 다시 논의하기로 한 '9·4 의정합의'를 체결한 바 있다.

전공의 이탈에 대비해 정부는 비상진료체계를 운영하기로 했다. 핵심인 인력 관련 대책을 보면 10개 국립대병원과 35개 지방의료원, 6개 적십자병원을 포함한 114개 공공병원 평일 진료 시간을 확대하고 주말과 공휴일 진료도 실시한다. 12개 국군병원 응급실도 일반인에게 개방한다. 

또 경증·비응급 환자의 전원 또는 수술 스케줄을 조정해 응급 환자 우선 진료를 하도록 할 방침이다.

그러나 이 같은 비상진료체계에도 한계는 있다. 복지부는 지난 2020년 전공의 집단행동 당시 상황을 참고해 전공의 비율에 따라 빠르면 1주, 길어도 3주 정도면 고비에 부딪힐 것으로 보고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전공의가 다 빠져 나가면 기존 교수들이나 전임의가 다 대체를 해야 하는데, 보통 40~50대인 분들 위주로 당직 체계를 돌리면 체력적으로 장기간 유지하기는 쉽지가 않다"며 "전공의 의존도가 높은 곳은 한 일주일에서 10일, 전공의 의존도가 낮은 곳은 한 3주 정도 지나면 기존 의료진 피로도가 누적돼 원활하게 돌리기가 어려울 것이다. 한계라기보다는 어느 정도 고비가 오는 시점"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연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